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구제역 발생

씽씽버디2 2023. 5. 11. 21:32

목차



    반응형

    충북 청주에서 4년여 만에 처음 구제역 발생이 확인되었고 계속해서 감염농가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정부는 지금 확산 상황을 '산발적 확산'이라고 평가하고 있으며 발생원인을 동남아 유입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우제류 사육농장은 6개월마다 구제역 백신을 접종하고 있으며, 소의 경우 항체 형성률이 97.9%에 이른다고 합니다. 정부는 오는 20일까지 전국의 모든 우제류 구제역 백신을 긴급 접종 예정으로 전국적 확산 가능성은 낮게 보고 있습니다.

     

    구제역과 인체감염의 위험성은 일반 국민들이 구제역에 감염된 동물과 접촉할 위험이 없어 발생 우려는 낮습니다. 다만 구제역 인체감염 사례는 과거에 매우 드물게 보고 되었습니다.

     

    대부분 관련 직업군(농장종사자, 수의사, 실험실 종사자) 등이며, 감염 되었더라도 손, 발, 입에 수포가 생기는 등 경증으로 발생해 자연회복 되었습니다. 

     

    구제역 발생구제역 발생구제역 발생
    구제역 발생

     

    인체 감염 및 증상은 경미하지만 전염성이 큰 질병으로 구제역 정의, 전염경로, 증상, 치료 및 예방약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구제역 정의

     

     - 구제역은 소, 돼지, 양, 염소 및 사슴 등 발굽이 둘로 갈라진 동물(우제류)에 감염되는 질병으로 전염성이 매우 강하며 입술, 혀, 잇몸, 코 또는 지간부 등에 물집(수포)이 생기며 체온이 급격히 상승되고 식욕이 저하되어 심하게 앓거나 어린 개체의 경우 폐사가 나타나는 질병임.

     

     - 세계동물보건기구(OIE)에서 지정한 중요 가축 전염병으로 가축전염병예방법 제1종 가축전염병에 속함.

     

    전염경로

     

     - 감염은 일반적으로 감염된 동물의 이동에 의해 이루어 짐.

     

     - 감염동물의 수포액이나 콧물, 침, 유즙, 정액, 호흡 및 분변 등의 접촉이 감염 경로가 되며 감염 동물 유래의 축산물에 의한 전파도 가능함.

     

     - 또한 감염된 동물과 접촉하거나 오염된 지역을 출입한 사람과 차량 그리고 이와 관련된 의복, 사료, 물, 기구 등을 통해서도 전파가 일어남.

     

     - 공기를 통한 전파의 경우 육지에서는 50km, 바다를 통해서는 250km 이상까지 전파된 보고가 있음. 특히, 감염축은 구제역 증상을 나타내기 전에도 이미 바이러스를 배출하기 시작하면서 질병을 전파할 수 있으므로 특별한 주의가 필요함.

     

    구제역 발생구제역 발생구제역 발생
    구제역 발생

     

    증상

     

    구제역 발생

     

     - 잠복기간 : 일반적으로 2일에서 14일 정도임.

     

     - 구제역 바이러스에 감염된 소에서는 체온상승, 식욕부진, 침울, 우유생산량의 급격한 감소 등이 나타남.

     

     - 발병 후 24시간 이내에 침을 심하게 흘리고, 혀와 잇몸 등에 물집이 생긴 것을 관찰할 수 있으며, 입맛 다시는 소리를 내기도 함.

     

     - 물집은 발굽의 사이와 제관부, 젖꼭지 등에서도 관찰되며, 물집은 곧 터져서 피부가 드러나고 짓무르고 헐게 됨.

     

     - 구제역 바이러스에 감염된 6개월 미만의 송아지에서는 심근염에 의해 죽는 경우가 있으며, 이 경우 심근에 나타나는 특징적인 병변을 호반심(tiger heart)이라고 함.

     

     - 일반적으로 이환율은 높고 폐사율은 낮은 편이나 어린 송아지의 경우 성우에 비하여 폐사율이 높으며 임신우에서는 유산을 초래하기도 함.

     

     - 감염된 소들은 1주 이상 거의 먹지 못하며, 절뚝거리며 유방염, 산유량 격감 등의 경제적 피해가 발생. 특히 젖소에서는 착유량이 50% 정도 감소함.

     

    구제역 발생구제역 발생구제역 발생
    구제역 발생

     

    치료 및 예방약

     

    - 구제역 발생 시 질병 확산을 억제하거나 예방을 위해 구제역 감수성 개체에 백신을 접종할 수 있음.

     

     - 구제역은 혈청형간에 교차 방어가 되지 않기 때문에 필요한 경우 혈청형별로 백신을 접종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으며, 백신을 하더라도 감염축에서 배출되는 바이러스가 많을 경우 동거축이 감염되고 증상을 나타낼 수 있음.

     

     - 구제역 백신은 일반적으로 구제역 바이러스를 동물세포에서 대량으로 증식시킨 후 이를 화학적으로 불활화 한 후 정제 및 농축 과정을 거쳐 생산된 항원에 면역원성을 증강시켜 주는 부형제를 섞어 놓은 것임.

     

     - 백신의 안전성과 방어효능은 일반적으로 동물실험을 통해서 평가함. 현재 우리나라는 구제역 백신을 상시 접종하고 있으며, 상시 백신접종을 하지 않는 유형의 항원은 항원뱅크에 일정량 보관하고 있어 유사시 신속히 백신으로 제조하여 도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음.

     

    구제역 발생구제역 발생구제역 발생
    구제역 발생구제역 발생구제역 발생
    구제역 발생

    반응형